엔비디아(NVIDIA)의 그래픽 드라이버는 경쟁적인 게이머와 게임 환경에서 즉각적인 입력 반응을 추구하는 사용자를 위해 ‘초저지연 모드’라는 새로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엔비디아 제어판을 통해 모든 지포스(GeForce) GPU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초저지연 모드의 작동 원리
일반적으로 그래픽 엔진은 GPU가 처리해야 할 프레임들을 대기열에 추가하고, GPU는 이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 엔비디아의 설명에 따르면, 이 ‘초저지연 모드’는 과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제공되던 ‘최대 사전 렌더링 프레임’ 설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렌더링 대기열에 있는 프레임 수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방식입니다.
특히 ‘초저지연’ 모드는 GPU가 프레임을 처리하기 직전에 렌더링 대기열에 프레임을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합니다. 엔비디아는 이를 ‘적시 스케줄링’이라고 칭하며, 기존 ‘최대 사전 렌더링 프레임’ 옵션을 사용할 때보다 지연 시간을 최대 33%까지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기능은 모든 엔비디아 GPU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DirectX 9 및 DirectX 11을 사용하는 게임에서만 효과적으로 작동합니다. DirectX 12 및 Vulkan API를 사용하는 게임의 경우, 프레임 대기열 관리가 게임 자체에 의해 처리되므로 엔비디아 드라이버가 이를 제어할 수 없습니다.
엔비디아는 이 설정을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저지연 모드는 게임이 GPU에 의존적이며 프레임 속도가 60에서 100 FPS 사이일 때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를 통해 그래픽 품질 저하 없이 높은 프레임률의 게임에서 향상된 반응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게임이 CPU에 의해 제한되거나 프레임 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이 설정의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 내 입력 지연(예: 마우스 반응 지연)은 종종 낮은 프레임 속도 때문일 수 있으며, 이 설정으로 해결될 문제는 아닐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초저지연 모드’는 잠재적으로 프레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 모드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엔비디아는 기본 설정을 통해 ‘최대 렌더링 처리량’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기본 설정이 더 적합할 수 있지만, 경쟁이 치열한 멀티플레이어 게임에서는 미세한 이점이라도 추구하기 위해 낮은 지연 시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초저지연 모드 활성화 방법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 436.02 이상이 필요합니다. 드라이버는 지포스 익스피리언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데이트하거나, 엔비디아 웹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한 후에는 엔비디아 제어판을 실행해야 합니다.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엔비디아 제어판’을 선택하면 됩니다.
제어판 왼쪽 사이드바의 ‘3D 설정’에서 ‘3D 설정 관리’를 선택합니다.
이제 ‘초저지연 모드’를 활성화할 방법을 선택합니다. 시스템 내 모든 게임에 적용하려면 ‘글로벌 설정’을 선택하고, 특정 게임에만 적용하려면 ‘프로그램 설정’을 선택한 후 원하는 게임을 선택합니다.
설정 목록에서 ‘낮은 대기 시간 모드’를 찾습니다. 해당 설정 오른쪽에 있는 설정 상자를 클릭하여 메뉴에서 ‘Ultra’를 선택합니다.
기본값인 ‘끄기’ 설정은 게임 엔진이 1~3개의 프레임을 대기열에 넣도록 합니다. ‘켜기’ 설정은 게임이 단일 프레임만 대기열에 넣도록 제한하며, 이는 이전 엔비디아 드라이버에서 ‘Max_Prerendered_Frames’를 1로 설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Ultra’ 설정은 GPU가 프레임을 처리할 시점에 ‘적시’에 프레임을 제출하여 대기열에 쌓이는 프레임이 없도록 합니다.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이제 엔비디아 제어판을 닫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 옵션은 실제로 많은 상황에서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특정 게임에서만 활성화한 후 설정을 테스트하여 성능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경 사항을 취소하고 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의 기본 설정을 사용하려면 다시 이 설정으로 돌아와 ‘복원’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