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vs. QLED, 그리고 더: 어떤 TV를 사야 할까요?

새로운 TV 구매를 고려 중이신가요? 그렇다면 다양한 기술 용어와 약어들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기존의 LED TV를 선택할지, 아니면 최첨단 OLED 기술이 적용된 TV를 선택할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LED와 OLED 기술, 무엇이 다를까요?

OLED 기술은 대부분의 평면 TV와 모니터에 사용되는 LCD 기술과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 방식으로, 각 픽셀이 스스로 빛을 냅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OLED는 픽셀을 완전히 ‘꺼서’ 완벽한 블랙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 LCD 스크린은 가장 저렴한 모델부터 고급 QLED(퀀텀닷) 모델까지 모두 백라이트가 필요합니다. 백라이트 방식은 가격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QLED는 일종의 마케팅 용어이며, OLED는 디스플레이 기술 자체를 의미합니다. QLED는 제조사들이 밝기와 색 재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퀀텀닷 필름을 가리킵니다. 삼성은 2013년에 이 기술을 도입했지만, 이후 소니나 TCL과 같은 다른 회사들에게도 라이선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OLED, 완벽한 블랙을 구현하다

명암비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가장 밝은 흰색과 가장 어두운 검은색의 차이를 의미하며, 많은 사람들이 화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여깁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픽셀을 완전히 끌 수 있어 빛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명암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밝은 이미지보다 깊고 진한 검은색이 더 중요한 어두운 환경의 영화 감상에 매우 적합합니다.

물론 완벽한 기술은 없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도 픽셀이 꺼진 상태에서 벗어날 때 검은색에 가까운 색(짙은 회색) 표현에서 약간의 불안정함을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기존의 LED 백라이트 LCD는 이미지 생성을 위해 여러 층을 통해 빛을 투과시키는 백라이트가 필요합니다. 이 백라이트는 화면의 검은색 부분에도 빛을 비추기 때문에 OLED만큼 ‘진짜’ 검은색을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LED TV 제조사들은 지난 몇 년 동안 이 분야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이제 많은 제품들이 로컬 디밍 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전보다 훨씬 나은 검은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 역시 완벽하지는 않아, 때로는 디밍 영역 주변에 ‘후광’ 효과를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LED, 더 밝은 화면을 제공하다

OLED 디스플레이는 어두운 방에서 사용할 때 이상적이지만, 기존 LCD만큼 밝은 화면을 제공하지는 못합니다. 이는 픽셀을 구성하는 유기 물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고 흐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조기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픽셀 밝기를 제한해야 합니다.

LED는 합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훨씬 느린 속도로 분해됩니다. 따라서 LED 디스플레이는 OLED보다 훨씬 더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천장부터 바닥까지 이어진 대형 창문이 있는 아파트와 같이 밝은 환경에서 TV를 시청하는 경우 LED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제조사들은 눈부심과 반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지만,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높이는 것만큼 효과적인 방법은 없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충분히 밝은’ 수준이지만, LED 패널은 이를 훨씬 뛰어넘는 밝기를 제공합니다.

물론 주로 밤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TV를 시청하는 경우라면 밝기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가격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Vizio P-Series Quantum X는 OLED 패널을 탑재한 LG CX 모델의 절반 가격도 안 되지만, 밝기 수준은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OLED, 프리미엄 TV 시장의 주역

OLED TV의 제조 비용은 예전보다 저렴해졌지만, 여전히 LCD보다 높은 비용이 소요됩니다. 이 때문에 OLED 패널은 프리미엄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으며, LG, 소니, 파나소닉 등 주요 제조사들은 OLED를 하이엔드 모델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OLED는 LCD보다 더 나은 화질을 제공한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LG와 소니의 2020년 모델은 뛰어난 색상 정확도로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 가격대에서는 고품질 부품과 풍부한 기능을 갖춘 고급 TV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가형’ OLED TV를 찾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OLED 패널을 생산하는 회사는 LG디스플레이가 유일하며, 48, 55, 65, 77인치 크기의 패널을 생산합니다. 48인치 패널은 77인치 생산 공정과 연계되어 있는데, 동일한 ‘마더 글래스’에서 잘라내기 때문입니다.

LG는 77인치 디스플레이를 많이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더 작고 저렴한 48인치 모델을 찾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비용 절감을 위해 더 작은 패널을 선택하더라도, 여전히 고급 이미지 프로세서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NVIDIA G-Sync, Dolby Vision, Filmmaker Mode 등 필요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기술에 대한 지원도 가격에 포함됩니다.

OLED 패널의 완벽한 블랙, 무한대의 명암비, 뛰어난 응답 속도를 원한다면, 과감하게 투자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고급 LCD TV도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삼성의 최상위 QLED 모델은 검은색 표현과 ‘OLED 느낌’이 부족하지만, 풀 어레이 로컬 디밍, 뛰어난 밝기, 고급 이미지 프로세서, Dolby Atmos 및 HDR10+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더욱 다양한 LED 모델

LED 백라이트 LCD는 생산하기가 훨씬 쉽기 때문에 시장에 더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합니다. 현재 OLED 패널은 LG디스플레이에서만 생산하고 있으며, LG의 소비자 부문과 소니, 파나소닉, 비지오 등 경쟁 업체에서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업체(최근 나노셀 라인업을 출시한 LG 포함) 모두 표준 LCD TV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LCD 기술은 TCL이나 하이센스 같은 저가형 제조사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구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괜찮은 TV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가형 TV라고 해서 반드시 나쁜 화질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멋진 화질을 제공하는 600달러짜리 TV에서도 퀀텀닷 기술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약간 더 나은 모델에 돈을 더 투자한다고 해서 화질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저가형 TV는 이미지 품질과 경제성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원하지 않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차세대 게임을 위한 고급 이미지 프로세서, Dolby Atmos 사운드, Dolby Vision HDR 또는 고대역폭 HDMI 포트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평소 뉴스를 보거나 연속극을 시청하는 데 괜찮은 TV를 찾는다면 저가형 모델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풀 어레이 로컬 디밍, LED TV의 화질을 향상시키다

고급 LED 백라이트 TV는 이제 FALD(풀 어레이 로컬 디밍) 기능을 제공하여 검은색 표현을 개선합니다. LED 백라이트를 개별 디밍 영역으로 나누면 디스플레이가 각 영역을 꺼서 더 깊고 완벽한 블랙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디밍 영역이 많을수록 그 효과는 더욱 확실해집니다.

이 기술은 고급 LCD 패널이 어두운 환경에서 OLED와 경쟁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여전히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디밍 영역이 자체 발광 패널의 미세한 제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디밍 영역의 경계 부분에서 후광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FALD를 지원하는 LED TV를 선택하면, OLED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만족스러운 화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밝은 방에서 TV를 시청한다면 두 기술 간의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TV를 주로 게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게임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모델에는 이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불필요한 기능이 자동으로 꺼져 모션 스무딩 등으로 인한 지연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OLED가 백라이트 이전 기술에 비해 갖는 또 다른 장점입니다. 백라이트가 없으므로 디밍 영역도 필요 없기 때문에 검은색 표현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OLED, 번인 현상에 취약하다

모든 디스플레이는 어느 정도 번인 현상에 취약하지만, OLED는 LCD보다 더 민감합니다. 이는 각 픽셀을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 때문입니다. 픽셀이 마모되면 이미지가 화면에 ‘번인’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영구 이미지 잔상’이라고도 하며, 화면에 장시간 정지된 이미지를 표시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는 TV 채널 로고, 뉴스 속보 시세 표시기, 스포츠 채널의 스코어보드, 비디오 게임 UI 요소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OLED 번인 문제는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패널 제조 및 소프트웨어 보상 기술이 개선되어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이것은 OLED 패널이 LCD만큼 밝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사용 환경에서는 OLED 번인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매일 몇 시간씩 뉴스 채널을 보거나, 몇 달 동안 같은 게임만 하지 않는다면 괜찮을 것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TV를 구매하거나, 컴퓨터 모니터로 사용하려는 경우(작업 표시줄과 아이콘이 대부분 고정되어 있음)에는 OLED가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 있습니다.

미니 LED, 또 다른 선택지

미니 LED는 OLED를 꺼리는 사람들에게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TCL은 이 기술을 소비자용 TV에 처음으로 도입한 제조업체이며, 2021년에는 더 많은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니 LED는 기존의 풀 어레이 로컬 디밍 기술을 개선한 버전으로, 고급 LCD 패널에서 볼 수 있습니다.

더 작은 LED를 사용하면 디밍 영역을 훨씬 더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디밍 영역이 작아지면 후광 효과도 줄어듭니다. 미니 LED는 기존 LED 백라이트와 OLED 패널 사이의 훌륭한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미니 LED 선택지는 TCL 8시리즈와 6시리즈뿐이며, 두 모델 모두 최고급 사양은 아닙니다. 차세대 게임을 위해 HDMI 2.1과 같은 기능을 원한다면, 향후 출시될 모델을 기다려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