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게임 유통의 선구자, 스팀(Steam)
2003년, 밸브(Valve)사의 하프라이프 2(Half-Life 2)와 함께 첫선을 보인 스팀은 디지털 배달 서비스의 시초였습니다. 디지털 콘텐츠 유통이라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빠르게 대중화되었고, 스팀은 전 세계 게이머들이 가장 선호하는 게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는 EA의 오리진 스토어(Origin Store)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스토어(Windows Store)와 같은 대형 기업들도 스팀의 모델을 따르고 있지만, 스팀의 압도적인 인기를 능가하는 플랫폼은 아직까지 등장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팀이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스팀은 인터넷 연결이 정상적임에도 불구하고 “업데이트하려면 스팀이 온라인 상태여야 합니다”라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스팀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팀 업데이트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스팀 라이브러리를 다시 다운로드하는 번거로움을 피하려면, 아래 해결 방법을 시도하기 전에 스팀 설치 폴더 내의 ‘Steamapps’ 폴더를 백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경로는 ‘C:Program FilesSteamSteamapps’이며,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면 다른 드라이브에 임시로 옮겨두었다가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 관리자 권한으로 스팀 실행
* 스팀 바로 가기 아이콘을 찾습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이 간단한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지속된다면, 아래 제시된 다른 해결 방법들을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해결 방법 2 – 윈도우 방화벽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윈도우 방화벽이 지나치게 민감하게 작동하여 안전한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벽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한 후 스팀을 다시 실행해 보세요.
* 제어판을 열고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Defender 방화벽’으로 이동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설정 또는 해제’를 클릭합니다.
* ‘개인 네트워크 설정’ 및 ‘공용 네트워크 설정’ 모두에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사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 ‘확인’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스팀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윈도우 방화벽을 다시 활성화해야 합니다. 방화벽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컴퓨터를 사용하면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3 – 스팀 클라이언트 서비스 재시작
* 윈도우 검색창에서 ‘서비스’를 검색하여 서비스 데스크톱 앱을 실행합니다.
* 서비스 목록에서 ‘Steam Client Service’를 찾아 선택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서비스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해결 방법 4 – 스팀 재설치
* 제어판을 열고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으로 이동합니다.
*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에서 ‘Steam’을 찾아 선택하고 ‘제거/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자동 옵션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완료’를 클릭하여 스팀을 제거합니다.
* 스팀 공식 웹사이트 store.steampowered.com 에 접속합니다.
* 웹페이지 우측 상단에서 ‘Steam 설치’를 클릭하여 스팀을 다시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해결 방법 5 – 다른 컴퓨터에서 스팀 파일 복사
간혹 스팀 자체적인 오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다른 컴퓨터의 스팀 파일을 복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정상 작동하는 스팀이 설치된 컴퓨터에 USB 저장 장치를 연결합니다.
* 스팀 설치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Steamapps’ 폴더를 제외한 모든 파일을 복사합니다.
* USB 저장 장치에 복사한 파일을 붙여 넣습니다.
* 문제가 발생하는 컴퓨터에 USB 저장 장치를 연결합니다.
* 스팀 설치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복사한 파일을 붙여넣고, 기존 파일들을 덮어씁니다.
스팀을 실행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해결 방법 6 – 레지스트리 편집기 사용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스팀 관련 설정을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레지스트리 편집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잘못된 값을 입력하면 시스템에 치명적인 오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아래 단계를 정확하게 따라야 하며, 변경 전에 레지스트리를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윈도우 시작 메뉴에서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Valve’ > ‘Steam’으로 이동합니다.
* 오른쪽 창에서 ‘AlreadyRetriedOfflineMode’를 찾아 더블 클릭합니다.
* 값 데이터를 ‘0’으로 설정합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습니다.
컴퓨터를 재시작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해결 방법 7 – 스팀 바로 가기에 -tcp 매개변수 추가
* 스팀 바로 가기 아이콘을 찾습니다. 만약 바로 가기가 없다면 스팀 설치 디렉토리에서 ‘Steam.exe’ 파일을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보내기’ >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하여 바로 가기를 생성합니다.
* 바탕 화면에 생성된 스팀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 ‘바로 가기’ 탭으로 이동합니다.
* ‘대상’ 입력란에 따옴표(“) 뒤에 ‘-tcp’를 추가합니다.
* ‘적용’ 및 ‘확인’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스팀을 실행하여 업데이트를 시도합니다.
해결 방법 8 – 인터넷 익스플로러 프록시 설정 해제
*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하고, 우측 상단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메뉴에서 ‘인터넷 옵션’을 선택합니다.
* ‘연결’ 탭으로 이동하여 ‘LAN 설정’을 클릭합니다.
* ‘자동으로 설정 검색’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 옵션이 체크 해제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확인’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해결 방법 9 – 구글 DNS 사용
DNS 설정 충돌로 인해 스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개인 DNS를 사용하고 있다면, 서비스 제공업체에 문의하여 설정을 확인하십시오. 그렇지 않다면 구글 DNS와 같은 공개 DN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제어판을 열고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이동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어댑터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에서 현재 사용 중인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 ‘속성’ > ‘고급’으로 이동합니다.
* ‘DNS’ 탭으로 이동하여 기존 DNS 주소가 있다면 추후 복원을 위해 기록해 둡니다.
* ‘추가’를 클릭하고 ‘8.8.8.8’ 또는 ‘8.8.4.4’를 입력합니다.
* ‘확인’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해결 방법 10 – 호스트 파일 편집
호스트 파일은 컴퓨터가 특정 도메인에 접속할 때 참조하는 목록입니다. 이 파일을 편집하여 스팀 연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메모장을 실행합니다.
* 메모장에서 ‘파일’ > ‘열기’를 클릭하고 ‘C:WindowsSystem32driversetc’ 경로로 이동합니다.
* ‘hosts’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만약 파일이 보이지 않는다면, 우측 하단에서 파일 형식 설정을 ‘모든 파일’로 변경합니다.
* 호스트 파일 내용의 마지막 줄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
68.142.122.70 cdn.steampowered.com
208.111.128.6 cdn.store.steampowered.com
208.111.128.7 media.steampowered.com
“`
*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메모장을 닫습니다.
*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다음 명령을 입력합니다.
“`
ipconfig /flushdns
“`
이제 스팀을 실행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제시된 여러 가지 해결 방법을 통해 스팀 업데이트 오류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쾌적한 게임 환경을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