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개발 여정을 시작했을 때, JavaScript, React, HTML, CSS는 제게 매우 익숙한 단어들이었습니다. HTML과 CSS는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쉬웠지만, JavaScript와 React는 숙달하기까지 상당한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React와 JavaScript 사이의 논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분야에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둘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언제 JavaScript 대신 React를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반대로 React 대신 JavaScript를 선택해야 할까요? 이러한 질문들이 여러분의 마음속에 떠오르고 있을 것입니다.
본 글에서는 웹 개발 분야에서 가장 각광받는 두 가지 기술인 React와 JavaScript를 소개하고, 이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며, 실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어떤 상황에서 각각을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자바스크립트란 무엇인가?

JavaScript는 웹페이지에 상호작용성과 역동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때로는 순수 JavaScript, 즉 ‘바닐라 JavaScript’라고도 불립니다. 대부분의 프런트엔드 개발자들은 JavaScript를 HTML(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및 CSS(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합니다.
JavaScript는 뛰어난 유연성을 자랑하며, 웹, 게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용 편의성과 다재다능함 덕분에 JavaScript는 가장 선호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으며, StackOverflow 2023 설문조사에서도 그 인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stackoverflow.co
자바스크립트의 주요 기능
JavaScript는 오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해왔습니다. 다음은 이러한 인기를 뒷받침하는 주요 기능들입니다.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스크립트 언어
JavaScript를 사용하여 런타임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언어는 신속한 프로토타이핑,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반복적인 작업 자동화에 매우 유용합니다.
JavaScript는 비차단 방식으로 작동하며, 콜백, Promise, async/await와 같은 기능을 통해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메인 스레드를 차단하지 않고도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손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function fetchData()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solve("데이터를 성공적으로 가져왔습니다!");
}, 2000);
});
}
fetchData().then(data => {
console.log(data); // 출력: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가져왔습니다!
});
`fetchData` 함수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합니다. 여기서 `resolve`와 `reject`는 비동기 작업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입니다.
DOM 조작
DOM(문서 객체 모델) 조작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HTML 문서의 구조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var heading = document.getElementById('myHeading');
document.getElementById('changeText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heading.textContent="텍스트가 변경되었습니다!";
});
document.getElementById('highlight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heading.classList.add('highlight');
});
이 예시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 사항을 적용하는 이벤트 리스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튼 클릭 시 제목의 색상이 변경됩니다.
동적 타이핑
JavaScript에서는 변수의 데이터 유형이 런타임 시에 결정됩니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개발자는 변수 유형을 미리 지정할 필요 없이 보다 쉽고 빠르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를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let variable1 = 42; // variable1은 숫자 유형입니다. console.log(variable1); // 출력: 42 variable1 = "koreantech.org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이제 variable1은 문자열 유형입니다. console.log(variable1); // 출력: koreantech.org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첫 번째 예시에서는 `variable1`에 숫자 값 42를 할당했지만, 두 번째 예시에서는 문자열 “koreantech.org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확장성
다양한 타사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JavaScript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Angular는 JavaScript 프레임워크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React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일종입니다.
React란 무엇인가?

React는 모바일 및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원래 Meta(이전의 Facebook)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이후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로 공개되었습니다. React는 개발자가 UI를 구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버그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인 컴포넌트 생성을 용이하게 합니다.
React는 HTML과 JavaScript를 결합한 JSX 문법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문법 덕분에 개발자는 HTML과 JavaScript 코드를 하나의 파일 내에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Bootstrap과 같은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스타일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React의 주요 기능
React는 웹 개발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레임워크이자 기술 중 하나로 손꼽히며, Stackoverflow 2023 설문조사에서도 그 인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stackoverflow.co
다음은 React의 인기를 설명하는 몇 가지 주요 기능입니다.
컴포넌트 기반 구조
React는 작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을 쉽게 만들 수 있는 모듈식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코드를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이러한 컴포넌트를 변경, 편집,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컴포넌트는 일반적으로 `src` 폴더 내에 위치합니다. 다음은 React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적인 폴더 구조입니다.

선언적 프로그래밍
React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React는 개발자가 기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필요한 업데이트를 처리합니다. 즉, 개발자는 원하는 결과를 설명하고, React는 해당 결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다음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const numbers = [1, 2, 3, 4];
const DoubledNumbersList = () => {
return (
<ul>
{numbers.map(number => (
<li key={number}>{number * 2}</li>
))}
</ul>
);
};
// 컴포넌트 렌더링
ReactDOM.render(<DoubledNumbersList />, document.getElementById('root'));
이 예시에는 `numbers` 배열과 `DoubledNumbersList` 컴포넌트가 있습니다. 우리는 각 숫자를 두 배로 만들어 목록으로 렌더링해야 한다고 선언합니다. 이것은 UI가 어떻게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
React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데이터가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만 흐릅니다. 상위 컴포넌트가 변경되면 하위 컴포넌트에도 자동으로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
하지만 하위 컴포넌트의 변경 사항은 상위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보다 예측 가능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 하위 컴포넌트
const ChildComponent = ({ data }) => {
return (
<div>
<p>상위 컴포넌트로부터 받은 데이터: {data}</p>
</div>
);
};
// 상위 컴포넌트
const ParentComponent = () => {
const [parentData, setParentData] = useState('초기 데이터');
const handleDataChange = () => {
// 상위 컴포넌트의 상태 변경
setParentData('업데이트된 데이터');
};
return (
<div>
<button onClick={handleDataChange}>데이터 변경</button>
{/* 데이터를 props로 하위 컴포넌트에 전달 */}
<ChildComponent data={parentData} />
</div>
);
};
// App 컴포넌트
const App = () => {
return (
<div>
<h1>React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 예시</h1>
{/* 상위 컴포넌트 렌더링 */}
<ParentComponent />
</div>
);
};
export default App;
`ParentComponent`는 `useState` 훅을 사용하여 `parentData`의 상태를 관리합니다. `handleDataChange` 함수는 상태를 수정합니다.
`ChildComponent`는 props로 전달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함수형 컴포넌트입니다.
가상 DOM
React는 컴포넌트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가상 DOM을 생성합니다. 그런 다음 이 라이브러리는 가상 DOM과 실제 DOM 간의 변경 사항을 비교하고, 변경된 부분만 업데이트합니다.
다음 코드를 살펴봅시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App = () => {
// 카운터 상태를 관리하는 useState 훅
cons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0);
//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이벤트 핸들러
const incrementCounter = () => {
setCounter(counter + 1);
};
return (
<div>
<h1>카운터: {counter}</h1>
<button onClick={incrementCounter}>증가</button>
</div>
);
};
export default App;
이 예시에서는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값이 증가하는 카운터 변수를 사용합니다. React는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할 때 전체 DOM을 변경하는 대신, 변경 사항만 확인하고 실제 DOM과 비교한 후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합니다.
React vs JavaScript
| 기능 | React | JavaScript |
| 사용법/유형 | JavaScript는 웹 개발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주로 프론트엔드 개발에 활용되지만, 최근에는 Node.js와 같은 기술을 통해 서버 측 프로그래밍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 JavaScript는 웹 개발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주로 프론트엔드 개발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Node.js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서버 측 프로그래밍에 채택되었습니다. |
| 학습 곡선 | React는 JSX 문법과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로 인해 학습 곡선이 다소 가파른 편입니다. React 개념을 빠르게 익히려면 JavaScript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Vanilla JavaScript는 React에 비해 배우기 쉽습니다. 개발자로서 JavaScri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HTML 및 CSS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
| 인기 | React는 2013년에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높은 인기를 자랑하지만, 수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보유한 JavaScript 생태계와 비교하면 그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 JavaScript는 1995년에 출시된 이후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어왔으며, 오랜 기간 동안 가장 선호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 유지보수 | React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플러그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업데이트할 때 전체 코드를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컴포넌트를 유지 관리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 대규모 JavaScript 애플리케이션은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파일에 많은 JavaScript 코드가 존재하면 코드의 가독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 UI/UX 성능 | React는 가상 DOM을 활용하여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쉽게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코드를 작은 조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DOM 업데이트 속도가 빠릅니다. | Plain JavaScript를 사용하여 원하는 수준의 성능을 달성하려면 많은 수동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
| 보안 | React는 상호 운용성을 염두에 두고 구축되었기 때문에 공격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사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React 앱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JavaScript는 다양한 보안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시 보안 토큰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생태계 | React는 방대한 양의 타사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규모는 JavaScript 생태계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 JavaScript는 React 외에도 Vue, Angular와 같은 수많은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생태계에서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React의 한계
React는 많은 기능과 장점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다음은 그 중 일부입니다.
- 이전 브라우저 지원 부족: React는 Google Chrome, Opera, Mozilla Firefox, Apple Safari, Microsoft Edge와 같은 최신 브라우저에서 최적화되어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전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React 실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프런트엔드에 특화: React는 개발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전체 스택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면 ExpressJS와 같은 Node.js 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가파른 학습 곡선: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의 경우 React를 배우는 것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JavaScript의 한계
JavaScript는 매우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Statista에 따르면 응답자의 63% 이상이 JavaScript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JavaScript에도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 시간 소모적: 개발자는 일반 JavaScript(바닐라 JavaScript)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대부분의 코드를 처음부터 작성해야 합니다.
-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지 않음: 대규모 JavaScript 애플리케이션을 유지 관리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단일 스레드: JavaScript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CPU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에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React vs JavaScript: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React와 JavaScript는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는 기술이 아닙니다.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수많은 JavaScript 라이브러리 중 하나일 뿐입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JavaScript 또는 React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React가 JavaScript보다 더 적합하고, 반대로 JavaScript가 더 나은 선택일 때도 있습니다. 다음은 이러한 선택에 대한 분석 결과입니다.
JavaScript 대신 React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구축하고자 할 때: React는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코드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면 개발 작업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React의 모듈식 아키텍처 덕분에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소스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새로운 컴포넌트를 추가하거나 기존 컴포넌트를 업데이트 및 삭제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동적 콘텐츠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React는 Redux와 같은 타사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때 변경된 부분만 업데이트하는 가상 DOM을 제공합니다.
React 대신 JavaScript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JavaScript는 많은 사용자 상호 작용이 필요하지 않은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JavaScript 작동 방식을 심도 있게 배우고 싶을 때: 바닐라 JavaScript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코드를 처음부터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JavaScript의 동작 원리를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할 때 일반 JavaScript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글을 통해 React와 JavaScript의 차이점, 주요 기능, 그리고 각각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기를 바랍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JavaScript는 내부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학습자나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집중하고 싶을 때에는 React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React와 JavaScript를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JavaScript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만약 React와 경쟁 관계에 있는 기술을 찾고 있다면 React vs Angular에 대한 기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