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1에서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6가지 방법

주요 요점

  • 시스템 설정을 이용하여 안전 모드로 진입하여 간편하게 설정하고 부팅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설정 앱을 통해 안전 모드에 접속하여 재부팅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 잠금 화면에서 안전 모드로 진입하려면 PC를 재시작하고 Windows 복구 환경을 활용해야 합니다.

윈도우 안전 모드는 시스템 구동에 필수적인 기본 드라이버와 파일만으로 시작됩니다. 시작 앱, 네트워크 기능, 명령 프롬프트 등은 안전 모드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외부 하드웨어 드라이버나 프로그램 충돌로 인해 시스템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안전 모드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접근 방법 또한 다양합니다. 컴퓨터 진단이 필요한 경우, 정상 작동 중이거나 부팅이 되지 않는 컴퓨터에서 Windows 11의 안전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다양한 안전 모드 유형 및 활용 시점

고급 부팅 옵션에는 세 가지 안전 모드 선택지가 있습니다.

  • 안전 모드: 윈도우는 최소한의 필수 드라이버 및 파일만으로 시작하며, 다른 기능은 모두 비활성화됩니다.
  •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안전 모드: 기본적인 드라이버와 함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연결에 필요한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추가로 로드됩니다. 단, Wi-Fi 연결은 이 모드에서 사용 불가합니다.
  • 명령 프롬프트를 포함하는 안전 모드: 안전 모드에서 명령 프롬프트에 접근해야 하는 고급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Windows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1.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이용한 안전 모드 진입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는 다른 방법보다 안전하게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재시작 전에 원하는 안전 모드(기본, 네트워킹, 명령 프롬프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다음 재시작 시 컴퓨터가 자동으로 해당 모드로 부팅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안전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

  •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msconfig’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또는 시작 메뉴에서 ‘시스템 구성’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 시스템 구성 창에서 ‘부팅’ 탭을 클릭합니다.
  • ‘부팅 옵션’에서 ‘안전 부팅’을 선택합니다. 기본적으로 최소 모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대체 셸'(명령 프롬프트), ‘네트워크’ 또는 ‘Active Directory 복구’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고급 옵션’에서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사용량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목적이 없다면 기본 설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변경이 완료되면 ‘확인’을 누르고 ‘적용’을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
  • 컴퓨터를 재시작하면 안전 모드로 부팅됩니다.
  • 2. 설정 앱을 통한 안전 모드 진입 방법

    설정 앱을 이용하여 안전 모드로 진입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복구 옵션을 통해 고급 시작 설정에 접근한 후 안전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Win + I 키를 눌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 ‘시스템’ 탭에서 아래로 스크롤하여 ‘복구’ 옵션을 클릭합니다.
  • ‘고급 시작’ 섹션에서 ‘지금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 ‘지금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을 확인합니다.
  • ‘옵션 선택’ 화면에서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 다음으로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 ‘고급 옵션’에서 ‘시작 설정’을 클릭합니다.
  •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 시작 설정을 확인하고 실행합니다. 다양한 번호의 옵션 목록이 나타납니다.
  • 원하는 안전 모드 유형에 따라 4, 5, 또는 6번 키를 누릅니다. 이제 Windows가 재시작되어 안전 모드로 진입합니다.
  • 안전 모드를 종료하려면 PC를 재시작하면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됩니다.

    3. 잠금 화면에서 안전 모드 부팅하기

    윈도우 비밀번호를 잊었거나 로그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잠금 화면에서 안전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PC를 재시작합니다.
  • 잠금 화면에서 아무 키나 누르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 ‘전원/종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확인 메시지가 나타나면 ‘어쨌든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 컴퓨터가 재시작되면 Windows 복구 환경이 나타납니다.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로 이동합니다.
  • 4번 키를 눌러 재시작하고 안전 모드로 부팅합니다.
  • 또는 데스크탑에서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시작’ > ‘전원’을 클릭하고,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4. 명령 프롬프트 및 WinRE를 사용한 안전 모드 부팅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고급 옵션을 활성화한 상태로 컴퓨터를 재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Windows RE에 들어가면 ‘시작 설정’으로 이동하여 안전 모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Win 키를 누르고 ‘cmd’를 입력한 후 명령 프롬프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 명령 프롬프트 창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 실행합니다.
    shutdown.exe /r /o
  • 팝업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닫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1분 후 윈도우가 재시작됩니다. PC가 재시작되어 Windows 복구 환경으로 부팅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 Windows RE에서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로 이동합니다.
  • 재시작 후 해당 키를 눌러 안전 모드로 부팅합니다.
  • 5. Windows 부팅 실패 시 안전 모드 진입

    Windows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거나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Windows 복구 환경을 통해 고급 부팅 옵션을 사용하여 안전 모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부팅 과정에서 F8 키를 반복적으로 눌러 고급 부팅 옵션에 접근할 수 있지만, 항상 작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부팅 중에 의도적으로 몇 차례 컴퓨터를 강제 종료하여 Windows가 Windows 복구 환경으로 부팅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연속 두 번의 시도에 실패하면 Windows는 자동으로 WinRE를 시작하여 고급 부팅 옵션에 대한 접근을 제공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컴퓨터를 종료합니다.
  • 전원 버튼을 눌러 PC를 켭니다.
  • 로딩이 시작되면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강제 종료합니다. 컴퓨터를 다시 강제 종료하려면 이 단계를 반복합니다.
  • 세 번째 시도에서는 전원 버튼을 눌러 Windows가 Windows 복구 환경으로 로드되어 부팅되도록 합니다.
  • ‘옵션 선택’ 화면에서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로 이동합니다.
  • 재시작 후 4, 5, 또는 6 키를 눌러 안전 모드로 부팅합니다.
  • 6.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및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안전 부팅

    컴퓨터에 심각한 시스템 오류나 부팅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부팅할 수 없는 경우,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안전 부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설치 미디어가 없다면, 안내에 따라 Windows 11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만드세요. 부팅 가능한 드라이브가 준비되면 아래 단계를 따릅니다.

  •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 전원 버튼을 누르고, HP 노트북에서는 F9 키를, Lenovo 노트북에서는 F2 키를 눌러 부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부팅 관리자 키는 노트북/마더보드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부팅 관리자에서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부팅 장치로 선택하고 Enter 키를 눌러 Windows 설치 마법사를 시작합니다.
  • Windows 설치 마법사에서 ‘다음’을 클릭합니다.
  • 왼쪽 하단에 있는 ‘컴퓨터 복구’를 클릭하여 Windows RE로 진입합니다.
  • ‘옵션 선택’ 화면에서 ‘문제 해결’ > ‘명령 프롬프트’ 순으로 이동합니다.
  • 명령 프롬프트 창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 BCD(부팅 구성 데이터) 파일을 수정합니다.
    bcdedit /set {default} safeboot minimal
  • 또는 네트워킹을 통한 안전 부팅을 활성화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cdedit /set {default} safeboot network
  •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Exit’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합니다.
  • Windows RE에서 ‘계속’을 클릭합니다. 이제 Windows가 안전 부팅 모드로 재시작됩니다.
  • Windows 11에서 안전 모드 종료 방법

    안전 모드를 종료하려면 PC를 재시작한 후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다시 시작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만약 컴퓨터가 계속해서 안전 모드로 부팅된다면, 다음 단계를 통해 안전 모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msconfig’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하여 시스템 구성을 실행합니다.
  • ‘부팅’ 탭에서 ‘안전 부팅’ 옵션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 ‘적용’ 및 ‘확인’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PC를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시작됩니다.
  • 안전 모드는 Windows의 유용한 진단 도구입니다. 필수 드라이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시스템 하드웨어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그러나 타사 소프트웨어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면 Windows에서 클린 부팅을 시도해볼 것을 권장합니다. 클린 부팅은 최소한의 드라이버 및 시작 프로그램만으로 시스템을 로드하여 문제의 원인을 격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