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에서 Telnet을 활성화하고 사용하는 방법

텔넷은 오래된 원격 접속 프로토콜로, 윈도우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Homebrew를 이용하여 맥OS나 리눅스 환경에서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여전히 작동하지만, 과거에 비해 사용 빈도가 매우 낮아졌습니다. 텔넷은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하며, 더 사용하기 쉽고 직관적인 GUI를 갖춘 다양한 현대적인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점차 그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윈도우 10에서 텔넷 활용하기

텔넷은 분명 과거의 기술이지만, 윈도우 10에서도 여전히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용자는 텔넷을 위한 GUI 클라이언트를 선호하지만, 현대적인 원격 접속 솔루션이 더 나은 대안을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윈도우 10에서 텔넷을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어판을 통한 텔넷 활성화

윈도우 10에서 텔넷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십시오.

먼저, 제어판을 엽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메뉴로 이동합니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옵션을 선택합니다.
나타나는 창에서 ‘Telnet 클라이언트’를 찾아 체크합니다.
‘확인’ 버튼을 누르고, 화면에 표시되는 지침에 따라 클라이언트를 설치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텔넷 활성화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서도 윈도우 10에서 텔넷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TelnetClient

명령어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시스템에 텔넷 클라이언트가 설치됩니다.

PowerShell을 이용한 텔넷 활성화

PowerShell을 사용하여 텔넷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실행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Install-WindowsFeature -name Telnet-Client

이 명령어가 실행되면 텔넷 클라이언트가 설치됩니다.

텔넷 설치 확인

텔넷이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telnet

‘Microsoft Telnet’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만약 이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텔넷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입니다.

윈도우 10에서 텔넷 사용법

텔넷 클라이언트는 GUI 앱이 아닌 명령줄 기반 도구이므로,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격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텔넷 명령어를 숙지해야 합니다. 텔넷을 사용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해야 합니다.

서버에 연결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telnet 호스트이름 포트

결론

텔넷은 윈도우 이외의 시스템에 원격으로 접속해야 할 때 유용할 수 있지만, 연결하려는 시스템의 사용자 이름, 암호, 포트,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또한 해당 시스템에서 텔넷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더 사용하기 쉽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