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시스템에서 가상 머신(VM)을 구동하는 데 Hyper-V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Hyper-V 없이도 VM 실행이 가능하지만, Hyper-V를 사용하면 작업이 훨씬 간편해집니다. 특히 VM이 시스템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다만 모든 사용자가 VM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므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Hyper-V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VM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Hyper-V 활성화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다음 안내에 따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Hyper-V 사용을 위한 필수 조건
Hyper-V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특정 하드웨어 환경을 필요로 합니다. Hyper-V를 원활하게 사용하려면 아래 명시된 기본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Intel 또는 AMD CPU (가상화 및 SLAT(Second Level Address Translation) 기능 지원 필수)
Windows 10 또는 Windows 8/8.1의 64비트 버전
최소 4GB RAM
Hyper-V 지원 여부 확인 방법
시스템이 Hyper-V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작업 관리자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고 ‘성능’ 탭으로 이동합니다. 오른쪽 열에서 ‘CPU’를 선택한 후, CPU 사용량 그래프 아래를 확인하십시오. ‘가상화’ 옵션이 표시되며, 해당 옵션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옵션이 보이지 않는다면, 해당 CPU는 Hyper-V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Coreinfo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유틸리티를 통해 CPU가 SLAT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info 유틸리티 다운로드
유틸리티를 다운로드한 후 압축을 풀고,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cd’ 명령어를 이용하여 압축 해제된 폴더로 이동한 후,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명령어 실행 결과에서 CPU의 Hyper-V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reinfo.exe –v
Hyper-V 활성화 절차
시스템이 Hyper-V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제 Hyper-V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Windows 10 자체 설정으로는 Hyper-V를 활성화할 수 없으며, BIOS 설정 변경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BIOS에 접근해야 합니다.
BIOS 레이아웃은 모든 데스크탑 및 노트북에서 동일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시스템에 맞는 옵션을 찾아야 합니다. 어떤 BIOS에서는 ‘가상화’ 관련 탭이 따로 존재하기도 하고, ‘고급 설정’ 또는 ‘보안’ 메뉴 아래에 해당 옵션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BIOS에서 해당 옵션을 찾았다면, Enter 키를 눌러 선택한 후 위/아래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비활성화’를 ‘활성화’로 변경합니다. 변경 후 F10 키를 눌러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이전 섹션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Hyper-V가 올바르게 활성화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 후 V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