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EG, GIF 또는 PNG? 이미지 파일 유형 설명 및 테스트

주요 요점

  • RAW 파일은 카메라가 포착한 모든 정보를 원본 그대로 담고 있어 편집 작업에 유용하지만,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 JPEG 형식은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포맷이지만,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미지 품질이 다소 저하될 수 있습니다.
  • GIF 형식은 제한된 색상만을 사용하므로 단색으로 이루어진 로고나 아이콘, 간단한 그래픽 및 애니메이션에 적합합니다.
  • PNG 형식은 이미지의 세부 정보를 보존하는 데 뛰어나며, 오버레이나 투명 배경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TIFF 파일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높은 이미지 품질과 무손실 압축을 제공하여 인쇄 작업에 적합합니다.
  • SVG 파일은 벡터 기반으로 작동하여 크기 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그래픽 디자이너와 일러스트레이터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JPEG, GIF, PNG 등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의 차이점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어떤 상황에서 어떤 형식을 사용해야 할지, 또는 사진을 저장하는 데 가장 적합한 형식은 무엇인지 궁금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들을 아래에서 소개합니다.

RAW – 압축되지 않은 원본 이미지 데이터

RAW 파일은 DSLR 카메라에서 바로 얻을 수 있는, 압축이 전혀 적용되지 않은 순수한 이미지 파일입니다.

카메라가 캡처한 모든 시각 정보가 RAW 파일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파일 크기가 매우 큰 편이며, 파일 하나당 25MB를 쉽게 넘어설 수 있습니다. 사진 편집에는 유용하지만, 저장 공간을 고려할 때 효율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이미지 압축 기술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RAW 파일은 실제 이미지라기보다는 이미지 데이터에 가깝습니다. 또한 RAW는 표준화된 이미지 파일 형식이 아닙니다. 카메라 제조사들은 Canon의 CRW, Sony의 ARW, Nikon의 NEF와 같은 자체적인 RAW 형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DNG RAW 이미지 형식 (Digital Negative)도 있습니다. Adobe는 다양한 카메라 제조사들의 고유한 RAW 형식 사이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용 RAW 파일 형식인 DNG를 개발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카메라 제조사가 이 형식을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테스트 사진을 사용하여 여러 이미지 형식과 그 품질 차이를 비교해 볼 것입니다. 브라우저에서는 RAW 이미지를 직접 표시할 수 없으므로, 압축되지 않은 원본 RAW 사진의 스크린샷을 아래에 첨부했습니다 (파일 크기가 얼마나 큰지 주목해 주세요).

DNG – 81.2MB – 7900×5925px

JPEG – 일상적인 사용에 적합한 파일 형식

JPEG(또는 JPG)는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표준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이미지 형식 중 하나로, 사진이나 텍스트 이미지를 온라인에 게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픽셀당 24비트(빨강, 초록, 파랑 각각 8비트)를 지원하여 1,60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트루컬러(RGB) 형식입니다.

JPEG는 고품질 이미지를 만들 수 있지만, 손실 압축 방식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이미지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압축률을 높일수록 이미지 품질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JPEG로 이미지를 저장할 때 낮은 품질, 중간 품질, 고품질 옵션이 제공되는 것입니다.

아래는 DNG 테스트 사진을 고품질, 중품질, 저품질 JPG 형식으로 변환한 결과입니다. 각 파일의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JPG – 고품질(100%) – 38.3MB – 7900×5925px

JPG – 중간 품질(50%) – 1.95MB – 3950×2963px

JPG – 저품질(25%) – 259KB – 1975×1481px

세 가지 버전을 확대하여 나란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왼쪽의 저품질 버전에서는 픽셀화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중간 품질 버전은 멀리서 보면 괜찮아 보이지만, 여전히 약간의 픽셀화가 보입니다. 오른쪽의 고품질 버전에서는 눈에 띄는 픽셀화가 거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고품질 또는 때로는 중간 품질의 JPEG가 파일 크기와 품질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품질이 낮아질수록 품질 저하가 심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PEG는 텍스트보다는 선명한 전환이 적은 사진이나 그림에 더 적합한 경향이 있습니다.

GIF – 애니메이션뿐만이 아닌 다양한 활용

1987년에 소개된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는 픽셀당 8비트(빨강, 초록 각각 3비트, 파랑 2비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GIF는 256가지 색상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손실 압축을 사용하면 여러 번 압축하고 재압축하더라도 제한된 색상 팔레트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사진의 고품질 JPG 버전(38.3MB)을 고품질 GIF 파일(33MB, 100%)로 변환하면, GIF에는 JPG에 없는 색상 제한이 있기 때문에 품질이 저하되었습니다. 하지만 대용량 GIF를 훨씬 작은 GIF 파일(4.3MB, 33%)로 변환해도 무손실 압축 덕분에 품질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다음은 크고 작은 GIF 파일을 확대하여 나란히 놓은 것입니다.

오른쪽 이미지가 왼쪽 이미지보다 훨씬 작지만, JPG 압축처럼 품질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또한 가장 작은 GIF 파일은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장 작은 JPG 파일보다 여전히 더 큰 편입니다.

GIF의 제한된 색상 팔레트로 인해 이 형식은 단순한 색상 영역을 가진 로고나 아이콘과 같이 깊이 있는 색상 표현이 필요하지 않은 이미지에 가장 적합합니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GIF가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멋진 기능입니다. 여러 개의 개별 프레임을 특정 순서로 보여주고 이를 반복 재생하여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NG – 선명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위한 형식

POV-Ray를 통한 Ed g2s/위키미디어 공용

1995년 GIF를 대체하기 위해 설계된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파일 형식은 또 다른 무손실 형식입니다. 하지만 픽셀당 24비트 또는 32비트 등 이전 형식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4비트 버전에는 RGB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32비트 버전에는 RGBA 색상 공간이 사용됩니다. RGBA의 ‘A’는 알파 채널이 추가되어 이미지의 투명도 수준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위에 보이는 체크무늬 배경의 PNG 이미지처럼, 투명도를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NG 파일에는 더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JPEG나 GIF보다 파일 크기가 더 큽니다. 하지만 크기가 커지는 만큼 품질도 향상되므로, PNG는 이미지 세부 정보를 보존해야 하는 상황에 적합합니다.

아래는 RAW 파일에서 변환된 100% 고품질의 78.5MB PNG입니다. 고품질 파일을 저품질(10.9MB, 33%) PNG로 변환해도 무손실 압축 덕분에 품질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다음은 확대된 이미지와 나란히 비교한 결과입니다.

PNG는 디자인을 선명하게 유지하고 텍스트를 또렷하게 표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형식입니다. 또한 오버레이 작업이나 이미지 배경을 투명하게 만들고 싶을 때도 이상적인 선택입니다.

TIFF – 활용도는 낮지만 탁월한 성능

원래 스캐너용으로 개발된 TIFF(Tagged Image File Format)는 흑백에서 회색조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풀 컬러로 발전했습니다. 현재는 RGB 및 CMYK 색상 모델을 모두 지원하는 풀 컬러 파일 형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TIFF는 다른 형식만큼 온라인에서 자주 보이지는 않지만, 뛰어난 다양성, 폭넓은 활용성, 거의 모든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자랑합니다.

TIFF 파일은 압축되거나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압축 방식은 손실 또는 무손실일 수 있습니다. 무손실 압축이 일반적으로 TIFF 파일을 압축할 때 사용되지만, 파일 크기가 중요한 요소인 경우에는 손실 압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IFF는 파일 유형이라기보다는 파일 래퍼 또는 컨테이너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픽셀당 다양한 비트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JPEG나 PNG 파일과 유사하게 다양한 색상 심도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TIFF 파일로 작업할 때 폭넓은 색상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TIFF 형식은 브라우저에서 보편적으로 지원되지 않으므로, 아래에는 TIFF 파일의 고품질 PNG 스크린샷을 첨부했습니다.

비압축 TIFF – 71.4MB

무손실 압축 TIFF – 36MB

손실 압축 TIFF – 2.5MB

TIFF는 특히 사진, 그래픽 디자인 및 인쇄 작업에 이상적인 형식입니다. 활용 분야는 예술적인 영역을 넘어 확장되어 의료 영상이나 박물관 보관과 같은 분야의 전문가들도 자주 사용합니다.

SVG – 어떤 크기로든 무한히 확장 가능

SVG는 특정 상황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하는 독특한 이미지 파일 형식입니다. XML을 기반으로 하는 벡터 형식인 SVG 이미지는 해상도에 독립적입니다. 즉, 품질 저하 없이 어떤 크기로든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모든 형식은 래스터 기반입니다. 래스터 이미지와 벡터 이미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면, 관련 가이드를 참고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는 2,000% 이상 확대한 벡터 그래픽의 스크린샷입니다. 이미지 크기를 아무리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그래픽의 가장자리는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합니다.

다음은 동일한 그래픽의 PNG 버전입니다. 동일한 부분을 확대하면 매우 픽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VG 파일은 일반적으로 JPEG나 PNG와 같은 래스터 형식에 비해 매우 작은 편입니다. 위의 그래픽 스크린샷(PNG 형식)은 실제로 그래픽 자체의 SVG 파일(28.7KB)보다 더 큽니다.

SVG 형식은 로고나 아이콘과 같이 처음부터 이미지를 새로 만드는 그래픽 디자이너와 일러스트레이터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실제 장면의 사진과 같이 복잡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처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이 모든 내용을 살펴본 후에도 여전히 어떤 파일 형식이 가장 좋은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PNG는 안전한 선택입니다. 특히 오버레이나 투명도 작업이 필요한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좀 더 압축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품질 또는 중간 품질의 JPEG를 선택하세요. 무손실 압축, 높은 색심도, 다양한 활용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TIFF가 이상적입니다. GIF는 간단한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에 적합하고, SVG는 무한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원본 사진 편집을 위해 항상 RAW 파일을 보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