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채용 시장의 지각 변동: 캐리어빌더+몬스터의 파산 보호 신청
온라인 채용 시장의 오랜 축이었던 캐리어빌더와 몬스터의 합병 법인이 파산법 11조(챕터 11)에 따른 파산 보호를 신청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거시 경제적 압력과 치열한 경쟁이 기존 플랫폼의 디지털 구인 시장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 보여주며, 생존을 위한 전략적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법원의 보호를 신청하기로 한 결정은 회사가 “도전적이고 불확실한 거시 경제 환경”과 막강한 경쟁 세력에 맞서 씨름하는 가운데 내려졌습니다. 몬스터와 캐리어빌더는 수십 년간 운영되어 왔지만, 민첩한 구인 정보 취합 서비스(job aggregators)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 특히 링크드인(https://www.linkedin.com/)으로부터 상당한 시장 점유율 침식을 겪었습니다. 이들 신규 플랫폼은 인재 채용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핵심 자산 매각 및 향후 전략
이러한 난관을 헤쳐나가기 위해, 현재 사모펀드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와 네덜란드 인력 채용 회사 란스타트(Randstad)가 소유하고 있는 캐리어빌더+몬스터는 핵심 자산에 대한 법원 감독하의 매각 절차를 개시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부문인 구인 게시판(job board) 사업은 긱 경제에 중점을 둔 애플리케이션 잡겟(JobGet)에 인수될 예정입니다. 또한, 연방 및 주 정부를 위한 회사의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캐나다 소프트웨어 회사 발소프트(Valsoft)에 인수되며, military.com(https://www.military.com/) 및 fastweb.com(https://www.fastweb.com/) 웹사이트는 캐나다 미디어 회사 발넷(Valnet)으로 넘어갈 예정입니다. 이러한 계약은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 입찰로 구성되어, 파산 절차에서 더 높은 제안이 나올 경우를 대비한 기준 가치를 설정합니다.
델라웨어 지방 법원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회사의 자산은 5천만 달러에서 1억 달러 사이로 추정되며, 부채는 1억 달러에서 5억 달러로 예상됩니다. 구조조정 과정 동안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 캐리어빌더+몬스터는 2천만 달러의 임시 자금(interim financing)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법원 감독 전략은 산업의 변화하는 역학 속에서 잔여 사업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고용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