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iOS나 윈도우 폰에 비해 사용자에게 훨씬 더 많은 자유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장치에 설치된 앱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방식과 같은 세부적인 부분까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기본 방화벽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만, 완벽한 보안 솔루션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어떤 앱이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결정하는 설정은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ray Shirt에서 개발한 “NoRoot 방화벽” 앱은 루트 권한 없이도 VPN 연결을 통해 트래픽을 필터링하고, 각 앱의 인터넷 접근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앱의 인터페이스는 매우 직관적이며, 상단에 홈, 보류 중인 접근, 앱, 전역 필터 및 접근 로그의 5가지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홈 탭에서 ‘시작’ 버튼을 누르면 앱은 인터넷 트래픽 차단 권한을 요청합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을 신뢰합니다’ 옵션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NoRoot 방화벽은 VPN 연결을 생성하여 모든 트래픽을 이 연결을 통해 우회시킵니다. 이 VPN 연결의 주 목적은 데이터를 보호하고 악성 패킷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앱이 인터넷에 접근하려고 시도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림이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즉시 접근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으며, 이후의 상황에 대비하여 설정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아직 접근 허용 또는 거부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 앱은 NoRoot 방화벽의 ‘접근 보류’ 섹션에 나타납니다.
또한, 앱 탭에서는 Wi-Fi와 3G 연결 각각에 대해 개별 앱의 접근을 수동으로 ‘허용’ 또는 ‘거부’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앱의 또 다른 유용한 기능은 IP 주소, 호스트 이름 또는 도메인 이름을 기반으로 필터 규칙을 생성하여 특정 IP 주소에 대한 앱의 연결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필터는 전역 필터 탭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접근 로그는 이전에 인터넷 연결을 시도했던 앱의 기록을 보관합니다. 이 로그를 통해 특정 앱이나 서비스가 인터넷에 접근하려 했던 시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NoRoot 방화벽은 현재 IPv6를 지원하지 않으며 LTE 장치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개발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앱은 Google Play 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여러분의 장치에 설치해보세요.
[출처: Lifehac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