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은 최신 운영 체제로서,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 오류, 오버클러킹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유틸리티, 그리고 사용자가 설치하는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은 결국 시스템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진단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가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것입니다.
윈도우 11 안전 모드 진입 방법
윈도우 11을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데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어떤 방법은 다른 방법보다 간단하지만,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는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항목과 그렇지 않은 항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1. 설정 앱 활용
설정 앱을 통해 윈도우 11을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Win+I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하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시스템’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복구’ 옵션을 선택합니다.
‘복구 옵션’을 펼쳐서 확인합니다.
‘고급 시작’ 항목에서 ‘지금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시스템이 재시작되며 ‘문제 해결’ 메뉴로 진입합니다.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재시작 후 나타나는 옵션에서 ‘안전 모드’ 부팅 옵션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시스템이 안전 모드로 재시작됩니다.
2. 시작 메뉴를 통한 진입
시작 메뉴를 통해서도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메뉴를 통해 동일한 과정을 따르지만, 설정 앱을 실행할 수 없을 경우 이 방법이 유용합니다.
시작 메뉴를 엽니다.
‘전원’ 버튼을 클릭합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시 시작’ 옵션을 클릭합니다.
시스템이 재시작되고 ‘문제 해결’ 메뉴로 진입합니다.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나타나는 옵션 중 ‘안전 모드’를 선택하여 부팅합니다.
시스템이 안전 모드로 재시작됩니다.
3. 설치 미디어 활용
윈도우에 정상적으로 진입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설치 미디어를 사용하면 안전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 11 설치 디스크 또는 USB 드라이브가 필요합니다.
먼저 컴퓨터의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하여 USB 또는 DVD 드라이브를 우선 부팅 장치로 설정합니다.
윈도우 11 설치 디스크 또는 USB를 시스템에 연결합니다.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설치 미디어로 부팅됩니다.
‘복구 옵션’을 선택합니다.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안전 모드’ 부팅 옵션을 선택하여 재시작합니다.
시스템이 안전 모드로 재시작됩니다.
결론
안전 모드에서 벗어나려면 시스템을 일반 모드로 재시작하면 됩니다. 안전 모드는 네트워크 사용 가능 버전과 사용 불가능 버전 두 가지 옵션을 제공합니다. 문제 해결 메뉴에서 부팅 대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능이 비활성화된 안전 모드에서는 시스템이 WiFi나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활성화된 안전 모드로 부팅해야 합니다.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롤백하거나 설치를 막기 위해선 네트워크 기능이 없는 안전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